티스토리 뷰
목차
김장철이면 빠질 수 없는 대표 작물, 마늘. 마늘은 심는 시기만 잘 맞추면 비교적 수확이 쉬운 작물로, 가정 텃밭이나 귀농 작물로도 인기예요. 이 글에서는 마늘을 심기에 가장 좋은 시기와 함께, 지역별 차이, 주의할 점, 수확 시기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마늘은 언제 심는 게 좋을까?
마늘은 가을에 심어 이듬해 초여름에 수확하는 가을 파종 작물입니다.
보통 10월 초순부터 11월 초순까지가 전국적인 마늘 파종 적기로 알려져 있어요.
하지만 지역에 따라 기온과 토양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중부지방 | 10월 중순 ~ 10월 말 | 일찍 추워지므로 빨리 심어야 함 |
남부지방 | 10월 하순 ~ 11월 초 | 온화한 기후, 비교적 늦게 심어도 가능 |
제주도 | 11월 초 ~ 11월 중순 | 월동에 유리, 늦은 파종 가능 |
마늘을 너무 일찍 심으면?
마늘을 너무 빨리 심게 되면, 초겨울 전에 싹이 지나치게 올라와
동해 피해를 입을 수 있어요.
그렇다고 너무 늦게 심으면 뿌리 활착이 덜 되어
봄에 생육이 나빠지고 수확량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기온 15℃ 내외일 때 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씨마늘 준비는 어떻게?
심기 전, 씨마늘(종구) 준비는 필수입니다.
보통 통마늘을 까서 낱알로 쪼갠 후, 큰 알만 선별해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작고 쭈글쭈글한 마늘은 발아력이 약해 수확량이 줄 수 있어요.
또한 심기 전, 병해 예방을 위해 약제 소독 또는 햇볕에 말리는 작업도 추천됩니다.
파종 전 땅 준비, 이것만은 꼭
좋은 수확을 위해선 배수가 잘 되는 흙과 비옥한 토양이 중요합니다.
보통 심기 2주 전쯤 퇴비와 석회를 섞어 밭을 갈고,
파종 직전에 완숙된 퇴비와 복합비료를 뿌려주면 좋아요.
심는 깊이는 약 5~6cm,
마늘 사이 간격은 10~15cm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마늘 심는 방법 한눈에 보기
씨마늘 준비 | 건강한 알 선별 | 크고 단단한 알 사용 |
토양 관리 | 퇴비, 석회 살포 | 사전 준비 2주 전 |
파종 | 깊이 5~6cm | 싹이 위로 향하게 |
복토 | 흙 덮고 물주기 | 비닐멀칭 시 월동에 유리 |
마늘 월동, 어떻게 해야 하나요?
마늘은 추운 겨울을 땅속에서 보내며 봄을 기다리는 작물이에요.
특히 중부지방 이상은 겨울철 냉해 피해 방지를 위해
비닐멀칭 또는 볏짚 덮기 등의 보온 관리가 중요합니다.
멀칭은 잡초 방지, 습도 유지, 보온 효과까지 얻을 수 있어
초보자에게도 매우 추천되는 방법입니다.
수확은 언제? 여름을 기다리자
마늘 수확은 일반적으로 이듬해 6월 중순~7월 초 사이에 진행됩니다.
잎이 50~70% 정도 누렇게 변하고, 줄기가 마르기 시작하면 수확 시기예요.
수확 후에는 바로 먹기보다 그늘지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2~3주간 말리는 작업을 거쳐야 보관성이 좋아집니다.
마무리하며
마늘은 파종 시기만 잘 지켜도 비교적 재배가 쉬운 작물이에요.
중요한 건 기온에 맞는 적절한 파종과
건강한 씨마늘을 고르는 것, 그리고 겨울을 잘 나도록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재배가 처음이더라도 위의 가이드를 따라 심으면
내년 여름엔 뿌듯한 수확의 기쁨을 누릴 수 있을 거예요.